반응형

2017/07 14

고려시대 청자화형발

고려시대 청자화형발 青瓷花形鉢 높이 8.8cm 구연부 지름 14.8cm 고려 12세기 화형발에서 화형이란 꽃모양이란 뜻인데 여기서는 연꽃을 말하며 연꽃잎 열두개로 이루어진 한송이 연꽃을 피운것이다. 연꽃이 불교의 상징이듯 鉢이라고 하는 본 食器는 불교의 제례의식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벽의 두께는 굽 쪽의 중앙에서부터 구연부까지 점차적으로 얇아 지다가 구연부에 이르러 아주 얇아지게 된다. 유면은 투명하고 엷은 푸른색의 비색유로 얇게 시유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빙렬은 나타나지 않으며 크고작은 기포를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청자시대에서 상감기법이 나타나기 전의 청자 전성기때의 청자 유색과 유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시기를 보통 1120년에서 1146년 사이를 말한다. 이 시기 중 앞의 짧은..

조선시대 분청사기인화국화문옥호춘병

조선시대 분청사기인화국화문옥호춘병 粉青沙器印花菊花纹玉壶春瓶 높이 28.4cm 조선시대 15세기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에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14세기 중엽에서 16세기 중엽 사이에 생산되었고 15세기 전반 세종의 재위시기에 가장 다양하게 발전하여 전국에서 생산되었다. (분청사기인화문병: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의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분청사기 그릇의 형태는..

고려시대 청자 반양각국판문완

고려시대 청자 반양각국판문완 青瓷半阳刻菊瓣纹碗 높이 6.2cm 구연지름 15.5cm 고려 12세기 초반 완의 안쪽에 반양각으로 국판문(菊瓣文) [국화 꽃잎을 펼쳐놓은 모양을 도안화시켜 연속무늬를 구성한 것]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였고, 기물 밖의 윗쪽에 음각으로 두줄의 가는 실선을 한것외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 완이다. 이러한 국판문의 장식기법은 흔하지 않으며 13세기부터 나타나는 인화기법이 아닌 하나하나 음각으로 양각의 효과를 내게하는 반양각의 방식으로 정성을 들여 문양을 조각 하였다. 유면은 전성기때(12세기 초)의 전형적인 청자 유면을 보여준다. 기형은 절제되고 기품이 있으며 약간의 녹색을 머금은 투명한 유약으로 얇게 균일하게 시유되었으며 투명하여 유면안쪽의 문양이 선명하고 크고 작은 기포를 유관으로 확..

고려시대 청자 음각모란국화문장경각병

고려시대 청자 음각모란국화문장경각병 青瓷阴刻牡丹菊花纹長頸角瓶 높이 38.6cm 고려 12세기 고려시대 청자 중 장경각병은 원형의 둥근 목이 긴 장경병에 각을 만든것을 말하는데 보통 6각 8각 10각 12각 까지 있으며 본 작품은 10각의 장경각병이다. 모양이 학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학수병(鶴首甁)이라고 하기도 한다. 목의 끝에 뇌문을 둘르고 옆에 손잡이를 달아 뚜껑이 있었씀을 알 수 있다. 목의 각 면에 구름문양을 드문드문 넣었다. 목과 몸이 만나는 부분에 두줄의 가는 실선으로 경계를 나누고 몸쪽으로 여의두문을 둘렀다. 전체 열개의 면으로 되어있는데 우선 한면에 모란문을 두개씩 넣고 이어지는 면에 국화꽃을 한 송이씩 넣어 각 면마다 어긋나게 배치하였다. 아래쪽 유면에 오색 무지개가 나타난다. 장경병은..

고려시대 청자양각국화모양합

고려시대 청자양각국화모양합 青瓷阳刻菊花形盒 높이 3.8cm 구연지름 11.2cm 고려 12세기 뚜껑의 꽃술을 양각으로 해서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는데 , 거기에 흑백의 색으로 생명을 넣었다. 이런 장식기법의 청자를 퇴화문(堆花文)청자라 하는데, 백토(白土) 혹은 자토(赭土)를 붓에 묻혀서 그것이 두드러지도록 문양을 나타낸 것으로, 보통의 상감청자와 구별해서 순청자 혹은 상형청자에 두드러지는 표현이 필요할때 부수적으로 하는 표현방식이다. 아래는 퇴화문 기법의 예 중앙박물관 소장 중앙박물관 소장 아래는 일본 오사카 동양 도자 박물관의 청자 양각국화모양 합 아래는 본 작품의 세부사진

고려시대 청자음각연당초문완

고려시대 청자음각연당초문완 青瓷阴刻莲花唐草纹碗 높이 7cm 구연지름 18.2cm 고려 12세기 기벽은 얇고 외벽에 음각으로 목단꽃 문양을 세개의 면으로 해서 아주 가는 실선으로 그려 넣고 안쪽에는 역시 가는 실선으로 연당초문을 음각하여 문양을 수 놓았다. 유면은 얇고 투명하여 음각 문양이 선명하게 보이며 기포가 유관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작은 빙렬은 없으나 크게 갈라짐 현상이 일부 나타난다. 기벽의 목단꽃 본 기물의 특이한 점으로는 굽의 제작방식으로 보통은 규석받침을 사용해서 굽는데 여기서는 내화토 받침을 사용해서 구웠다. 아마도 기형이 커서 그랬으리라 여겨진다.

고려시대 청자상감모란절지문음각연당초문과형매병

청자상감모란절지문음각연당초문과형매병 青瓷镶嵌牡丹折枝纹阴刻莲唐草纹瓜形梅瓶 높이 25.2cm 고려 12세기 이름이 아주 길고 복잡한데 우선 주요 특징을 보면 참외모양을 닮은 매병이고, 목단절지문을 흑백상감으로 하고 연당초문을 음각으로 표현하였다. 여기에 입구쪽에 음각으로 여의두문을 둘렀으며 아래 굽 쪽에는 연판문으로 마감을 하였다. 이상의 특징들을 감안하여 " 청자상감모란절지문음각연당초문과형매병"이라 이름을 정했다. 보통 청자의 시대구분을 여러가지 근거로 다양하게 구분을 하는데 한국 고미술의 선각자이신 고유섭 선생은 고려 인종(~1146년)의 장릉에서 출토된 청자와 고려 명종(~1170년)의 지릉에서 출토된 청자를 분석해서 상감청자는 1146년에서 1170년 사이에 제작이 되었을걸로 판단을 한다. 인종의 장..

고려시대 청자음각연화절지문발

고려시대 청자음각연화절지문발 青瓷阴刻莲花折枝紋鉢 높이 6.5cm 구연지름 10.7cm 고려시대 12세기 당시의 기물들 중 흔하지 않은 기형으로 완과 발의 구별이 애매한 정도이며 일반적인 완과 구별하여 크기와 모양을 고려하여 발로 정하는게 맞을걸로 보인다. 외벽위에 음각으로 뇌문을 두르고 전면에 연화절지문을 음각으로 시원하게 새겨져있다. 안쪽의 내벽에는 위쪽에 가는선 하나가 음각 되어 있을뿐 아무런 장식도 되어 있지 않다. 전체적인 느낌은 깜직하고 안정적인 기형에 가는 실선의 음각장식 그리고 얇게 시유된 비색유로 고려시기 전성기때의 청자의 기품을 느낌을 수 있다. 유면은 얇고 투명하며 녹색을 머금은 청자유를 볼 수 있고 기물전체에 퍼져있는 기포확인이 가능하고 빙렬은 나타나지않는다. 세개의 작은 규석받침을 ..

고려시대 청자음각앵무양각연판문접시

고려시대 청자음각앵무양각연판문접시 青瓷阴刻鹦鹉阳刻莲花纹蝶匙 높이 3.8cm 구연지름 12cm 고려 12세기 높이가 낮아 완 보다는 접시로 이름을 정하는게 맞는거 같다. 외벽에는 위에 음각으로 뇌문을 둘르고 아래에는 양각으로 연꽃모양(연판문)을 나타내는 문양으로 입체감을 살렸으며 안쪽으로는 위에 가는 선을 둘르고 안쪽 중앙에 원을 들르고 국화를 음각으로 새겼다. 안쪽 기벽에는 두마리의 앵무새를 음각으로 전체를 채웠다. 작은 접시인데 안쪽 바깥쪽 문양이 꽉 차 있고 문양의 크기와 선의 굵기 그리고 음양각의 조화 가 적당하여 전체적으로는 아주 크게 느껴지며 정교하고 대범한 기품을 느낄 수 있다. 얇고 투명한 담녹색의 비색유가 시유되어 있고 빙렬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굽의 제작은 정성들여 만들어 정교하며 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