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색청자 8

천하제일 비색청자 청자과형병

청자소문과형병 청자의 유색을 비취옥색에 견주어 비색이라 한다. 비색이라는 단어는 오늘날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고려 시대 사람들이 이미 사용했다. 서긍(徐兢)의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의하면 "그릇 색의 푸른 것을 고려인들은 비색(翡色)이라 부른다. 근래에 들어 그 제작이 더욱 정교해지고 색이 더욱 좋아졌다"라고 하는 문헌과 비색관련 송대의 저술이 전해져온다. 비색은 화학적으로 유약과 바탕흙 속에 함유된 미량(1~3퍼센트)의 산화제이철(Fe2O3)이 환원염으로 불에 구워지고 나면 산화제일철(FeO)로 바뀌면서 나타나는 색이다. 하지만 그러한 화학변화 이외에도 유약 속에 남아 있는 미세한 기포에 의한 빛의 굴절, 그리고 밝은 회청색의 바탕흙과 어우러져 나타나는 색으로 아주 엷은 녹색이나 밝..

고려시대 참외모양 주전자 青瓷瓜形注子

고려시대 참외모양 주전자 青瓷瓜形注子 고려 12세기 참외모양의 주전자로 뚜껑을 포함해 손상됨이 없다. 기형은 균형과 안정감이 뛰어나며 선이 유려하다. 전면에 비색이 균일하게 시유되었으며 뚜껑의 모양이 독특하다. 유면 전체에 기름이 흘러내리는 듯한(滋润) 느낌이 있는데 이는 청자의 중요한 특징중 하나이다. 뚜껑은 상형과 음각의 표현방식으로 본체와 균형을 이루는데, 전체적으로 훌륭한 비색, 적당한 균형과 비례,아름다운 곡선등 고려청자 전성기때의 모든 훌륭한 특색을 구비하였다.

고려시대 비색청자-참외모양병

고려시대 비색청자-참외모양화구병 翡色靑瓷-瓜形花口甁 높이 22.5cm 굽 지름 8cm 입구지름 9cm 고려 12세기 국보 94호 참외모양 병(아래 사진 참조)과 닮은 기형으로 많이 부식이 되고 제작 싯점 부터 약간의 하자가 있었지만 기형의 조형미와 비색의 色과 최고의 유면을 간직한 훌륭한 작품이다. 현재 공인되고 공개된 청자 작품들 중 비색과 관련하여 순 청자 중 국보 94호 참외모양 병을 최고의 작품으로 꼽는데 그 작품과 관련하여 , 기형에서 약간의 다름이 있지만 翡色과 유면(釉面)에서는 거의 흡사하며 단지 비색의 유약이 좀 더 두껍고 진하게 시유되었다. 아래는 국보 94호의 사진인데 조명과 각도에 따라 실제와 많은 차이가 있으며 그 중 가장 실제와 근접한 사진으로, 이를 감안해서 감상을 해야 하겠다.

고려상감 청자운학모란국화문표형병

고려상감 청자운학모란국화문표형병(靑磁象嵌雲鶴牡丹菊花文梅甁) 瓢形甁(표형병)은 조롱박 혹은 호루葫蘆의 형태를 말한다. 높이 30.8cm 13세기 후반으로 추정 윗 부분에 구름과 학 국화문을 상감했고 아래 부분에 국화와 모란문을 크게 상감으로 문양을 넣었다. 전체적으로 옥의 촉감을 갖고 있으며 은은한 푸른색이 감도는 투명한 유면으로 작고 세밀한 빙렬이 전체에 드러나 있다. 투명하고 은은한 푸른색은 상감의 문양을 선명하게 하고 몽롱한 느낌을 갖게해준다.

선녀와 고려청자

고려시대의 선녀와 고려청자 고려청자를 공부하면서 고려시대 선녀에 대한 모습을 찾기어려웠는데 거창 둔마리 고분벽화에 대한 자료를 보면서 어느정도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고려초기(12세기 초)의 고려청자 선녀문 두립완(斗笠豌) 선녀문의 그림이 거의 유사하다. 아래는 거창 둔마리 고분 벽화에 대한 자료 고분은 공개하지않고 대신에 거창박물관에 그대로 재현되어 있답니다. 이상의 자료는 아래와 같은 과일 접시를 든 선녀의 뚜렷한 모습을 보기위한 자료 였습니다. 동서 석곽의 각 벽에는 회칠을 한 뒤에 벽화를 그렸다. 벽화는 천녀상(天女像), 주악상(奏樂像), 남녀가 혼합된 무용도(舞踊圖) 등이 있다. 이러한 벽화들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은 부분이 많았으나, 적외선 사진에 의해 확인이 가능하였다. 먼저 동곽의 동벽에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