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자 양인각 3

고려시대 청자 양인각모란문 접시

고려시대 청자 양인각모란문 접시 青瓷 阳印刻牡丹纹(碟)楪匙 높이 3.7cm 입구지름 16.3cm 고려 12세기 유면과 유색은 청자 전성기때의 특징을 보여주지만 빙렬이 심하다. 유색이 투명하여 유면속의 문양이 선명하긴 하지만 양인각 자체가 선명하지 않아 전체의 문양이 뚜렷하게 보이진 않는다. 기물의 바닥은 크게 모란을 장식하였으며 기벽의 맨 바깥에 뇌문으로 마감을 했는데 그 사이의 기벽에 장식한 문양은 선명하지가 않아 확정하기가 어렵다. 포도문양 꽃모양 그리고 오리모양과 동자모양이 있는듯도 하고 아닌거 같기도 하고,,,,, 기벽이 두꺼우며 유면도 두껍게 시유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중량감이 있어 중후하며 변의 끝 부분을 최대한 얇게 해서 기물의 안정감을 더했다. 청자에서 양인각의 제작기법도 흔하지 않지만 본..

고려시대 청자 양음각 연화문 주자

고려시대 청자 양음각 연화문 주자 青瓷 陽陰刻莲花纹小注子 높이 9.1cm 고려 12세기 전반 연꽃을 양각으로 하고 그 안의 세밀한 선을 음각으로 하였다. 세개의 규석받침이 있고 약간의 유면 갈라짐 현상이 있고 유색이 약간 탁하다. 투명도가 덜 하다. 대나무 모양과 비교해서 유색은 덜 함이 있지만 기형의 안정감으로는 더한거 같다.

고려시대 청자 양인각 포도동자문완

고려시대 청자 양인각 포도동자문완 青瓷 阳印刻葡萄童子纹碗 높이 6.2cm 입구지름 14.8cm 12세기 전반기 이런 장식기법을 印刻(또는 陶範도범)인각이라 하는데 문양을 틀에 미리 만들어서 도장 찍듯이 (쉽게 molding)해서 양각 혹은 음각의 문양을 내는 것을 말한다. 이런 기법의 작품은 현존 작품들 중 그리 많지가 않아 많이 귀하다. 그리고 이 작품은 그런 도범으로 포도와 아이 문양을 넣어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였다. 아래는 같은 인각印刻작품으로 보물 1031호 청자양인각파어포련문접시(靑磁陽印刻波魚蒲蓮文접匙) 호암미술관 소장 이 작품은 국보 253호로 외벽은 상감으로 문양을 냈고 안쪽으로 인각印刻방식으로 문양을 냈다. 이름은 청자 양인각 연당초-상감 모란문 은구대접 이다.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아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