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清代 乾隆 金地珐琅彩观音瓶 청대 건륭 금채 법랑관음병
이런 기형을 관음병이라고 하는데. 观音尊관음존 이라고도 한다.
당시에 金彩금채의 경우 어떤 기물에서 도드라지게 하거나 특별한 일부에 국한해서 사용된
예는 많이 있는데 , 위와 같이 전체의 바탕으로 사용된 예는 아주 적은 경우이다.
당시 경덕전 관요에서 반제품의 백색자기 상태로 황궁에있는 어요로 올려서
금채를 바탕으로 하고 그 위에 법랑으로 시와 그림을 완성한 작품(釉上彩)인데 ,
남송시기 시인 韩㴲의 詩 중 한구절 "春色入芳梢"을 인용하고 작품이
詩의 경지에 이르렀씀을 시로 표현한다.
본작품은 청대 도자기의 성인으로 불리기도 했던 唐英(1682~1756)의 경덕전 관요 감독시절
4계절을 셋트로 해서 제작했던 작품중에서 가을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이런류의 작품이 있었음은 청대 경덕전도록이라는 책에도 전해진다.
당시에 이런류의 작품이 적지 않게 제작 되었음을 여러 자료와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미술 > 중국도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송시기 가요(南宋 哥窑) (0) | 2017.11.09 |
---|---|
中国金代钧窑月白釉鼓钉洗 중국 금대(남송) 균요 구정세 (0) | 2017.11.05 |
元代青花花卉纹八棱玉壶春瓶원대 청화 옥호춘병 (0) | 2017.11.04 |
邢窑白瓷 형요 백자 소개 (0) | 2017.11.04 |
北宋登封窑白釉珍珠地刻花婴戏纹瓷枕송대 등봉요 백유 자기베개 (0) | 2017.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