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려시대 청자음각연화절지문발
青瓷阴刻莲花折枝紋鉢
높이 6.5cm 구연지름 10.7cm 고려시대 12세기
당시의 기물들 중 흔하지 않은 기형으로 완과 발의 구별이 애매한 정도이며 일반적인 완과
구별하여 크기와 모양을 고려하여 발로 정하는게 맞을걸로 보인다.
외벽위에 음각으로 뇌문을 두르고 전면에 연화절지문을 음각으로 시원하게 새겨져있다.
안쪽의 내벽에는 위쪽에 가는선 하나가 음각 되어 있을뿐 아무런 장식도 되어 있지 않다.
전체적인 느낌은 깜직하고 안정적인 기형에 가는 실선의 음각장식 그리고 얇게 시유된
비색유로 고려시기 전성기때의 청자의 기품을 느낌을 수 있다.
유면은 얇고 투명하며 녹색을 머금은 청자유를 볼 수 있고 기물전체에 퍼져있는
기포확인이 가능하고 빙렬은 나타나지않는다.
세개의 작은 규석받침을 대고 구워 굽이 깨끗하고 엄격한 느낌을 갖게한다.
'고미술 > 한국도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 청자음각연당초문완 (0) | 2017.07.11 |
---|---|
고려시대 청자상감모란절지문음각연당초문과형매병 (0) | 2017.07.10 |
고려시대 청자음각앵무양각연판문접시 (0) | 2017.07.09 |
고려시대 청자상감유로수금문편병 (0) | 2017.07.09 |
고려시대 청자상감천명접시(靑磁象嵌’天’銘楪匙) (0) | 2017.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