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려시대 청자 반양각국판문완
青瓷半阳刻菊瓣纹碗
높이 6.2cm 구연지름 15.5cm 고려 12세기 초반
완의 안쪽에 반양각으로 국판문(菊瓣文)
[국화 꽃잎을 펼쳐놓은 모양을 도안화시켜 연속무늬를 구성한 것]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였고,
기물 밖의 윗쪽에 음각으로 두줄의 가는 실선을 한것외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 완이다.
이러한 국판문의 장식기법은 흔하지 않으며 13세기부터 나타나는 인화기법이 아닌
하나하나 음각으로 양각의 효과를 내게하는 반양각의 방식으로 정성을 들여
문양을 조각 하였다.
유면은 전성기때(12세기 초)의 전형적인 청자 유면을 보여준다.
기형은 절제되고 기품이 있으며 약간의 녹색을 머금은 투명한 유약으로 얇게
균일하게 시유되었으며 투명하여 유면안쪽의 문양이 선명하고 크고 작은 기포를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다. 빙렬은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굽의 제작이 엄정하고 규율이 있어보이고
세개의 규석받침을 사용하여 구웠다.
현대의 시각으로 기물이 완벽한 원을 이루거나 평형을 갖추지는 않았으나
나름 완전한 형태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
'고미술 > 한국도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 청자화형발 (0) | 2017.07.23 |
---|---|
조선시대 분청사기인화국화문옥호춘병 (0) | 2017.07.17 |
고려시대 청자 음각모란국화문장경각병 (0) | 2017.07.13 |
고려시대 청자양각국화모양합 (0) | 2017.07.13 |
고려시대 청자음각연당초문완 (0) | 2017.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