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려시대 청자 양인각 포도동자문완
青瓷 阳印刻葡萄童子纹碗
높이 6.2cm 입구지름 14.8cm 12세기 전반기
이런 장식기법을 印刻(또는 陶範도범)인각이라 하는데 문양을 틀에 미리 만들어서
도장 찍듯이 (쉽게 molding)해서 양각 혹은 음각의 문양을 내는 것을 말한다.
이런 기법의 작품은 현존 작품들 중 그리 많지가 않아 많이 귀하다. 그리고
이 작품은 그런 도범으로 포도와 아이 문양을 넣어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였다.
아래는 같은 인각印刻작품으로
보물 1031호 청자양인각파어포련문접시(靑磁陽印刻波魚蒲蓮文접匙) 호암미술관 소장
이 작품은 국보 253호로 외벽은 상감으로 문양을 냈고 안쪽으로 인각印刻방식으로 문양을 냈다.
이름은 청자 양인각 연당초-상감 모란문 은구대접 이다.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아래는 포도 동자문의 다른 예
청자 상감동화 포도동자문 표형 주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미술 > 한국도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 청자연적-고려문인 이규보와 청자연적 (0) | 2017.06.11 |
---|---|
고려시대 청자 양음각 연화문 주자 (0) | 2017.06.10 |
고려시대 청자 연화당초문완 (0) | 2017.06.09 |
고려시대 청자상감 목단당초문항아리 (0) | 2017.06.06 |
조선시대 철화백자 도수문(벼이삭)반구병 (0) | 2017.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