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호리병 혹은 조롱박이라 불리는 모양을 하고 있는 이 기물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전체 색은 검은 커피색을 띠며 백색의 조롱박문양(박 과 잎: 다산의 의미를 갖는)을 상감으로 처리하였다.
표면이 검은 것으로는 흙유라는 제작 기법도 있는데, 이 기물은 고려의 청자와 같은 제작 방식으로 제작이 된 것으로 보통 철채청자라고 부른다. 도자기를 만든 주 원료인 흙과 유면은 청자와 동일하며 단지 표면에 철사라는 원료를 입혀 색을 내고 청자의 상감기법과 같이 해서 백색으로 문양을 내고 그 위에 청자유약을 입힌 것이다.
기물의 입구를 보년 청자유면을 확인할 수 있다.
철채청자는 다른 고려청자에 비해 현존 수량이 극히 적어 더욱 귀하다고 할 수 있다.
'고미술 > 한국도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청자 양각 연판문 완 (0) | 2017.05.08 |
---|---|
고려청자 음각 모란문양 방형접시 (0) | 2017.05.08 |
고려청자상감포류수금문 용두잔 (0) | 2017.05.07 |
선녀와 고려청자 (0) | 2017.05.07 |
고려청자-阴刻刻画纹斗笠盏 (0) | 2016.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