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古洗》
年代:宋
作者:章甫
*章甫;1125-1185, 남송 시기 유명한 문인으로 많은 詩를 남겼다
古人不可見,古物亦無幾。*예전 사람들도 볼 수가 없었던 이 《고세》, 이 옛 물건은 신묘하기가 이를 데 없다.
今朝雙眼明,乃識漢時洗。
規模簡而質,彷彿古君子。
年深土銷蝕,薄處僅如紙。
篆名可意逆,依稀辨雙鯉。
傳寶今幾代,是閲人多矣。
我生頗好古,摩挲不能已。
悠然起遐思,俗物一何鄙。
*이 詩가 차이 요를 노래한 것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 시의 내용과 고대 문헌상의 차이 요에 대한 내용과 부합하는 내용이 많고, 본 기물과도 부합한다고 생각하여 본 작품을 노래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 시인이 쓴 다른 시에서도 비슷한 작품이 몇 개 더 있다.
고 도자기의 기물들 중 위와 같은 형식의 자기를 보통 洗(세)라고 부른다. 문방용품으로 붓을 씻는 용도 였을거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은 보통 筆洗(필세)라고 부른다.
《咏柴窑碗》
“色如海玳瑁,《青异》《八笺》遗。土性承足在,铜非钳口为。千年火气隐,一片水光披。未若永宣巧,龙艘落叶斯。”
청 대 건륭 황제가 《차이요 완을 노래하다》라는 詩에서 표현한 "一片水光披"현상.
'고미술 > 柴窯(시요)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晚霞(만하;저녁 노을), (0) | 2020.11.21 |
---|---|
류광일채“流光溢彩”、광망탈목“光芒夺目”、、、 (0) | 2020.11.18 |
시요의 유약은 어떻게 만들었는가? (0) | 2020.10.30 |
중국 오 대 세종 柴 世宗(柴荣) (0) | 2020.10.27 |
북송시대 차이요(시요)에 대한 인식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