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술 /한국도자기
고려시대 청자화형발
갠하늘
2017. 7. 23. 22:31
728x90
고려시대 청자화형발
青瓷花形鉢
높이 8.8cm 구연부 지름 14.8cm 고려 12세기
화형발에서 화형이란 꽃모양이란 뜻인데 여기서는 연꽃을 말하며 연꽃잎 열두개로
이루어진 한송이 연꽃을 피운것이다. 연꽃이 불교의 상징이듯 鉢이라고 하는 본 食器는
불교의 제례의식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벽의 두께는 굽 쪽의 중앙에서부터 구연부까지 점차적으로 얇아 지다가
구연부에 이르러 아주 얇아지게 된다. 유면은 투명하고 엷은 푸른색의 비색유로 얇게
시유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빙렬은 나타나지 않으며 크고작은 기포를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청자시대에서 상감기법이 나타나기 전의 청자 전성기때의 청자 유색과 유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시기를 보통 1120년에서 1146년 사이를 말한다.
이 시기 중 앞의 짧은 몇년은 당시 중국 북송말기 청자의 최고로 꼽히는 여요의 제작 시기와
겹친다. 여요의 작품들 중에도 본 작품과 같은 기물이 있는데 연꽃모양완이라고 부른다.
중국 북송시기 여요(1102년-1127년) 대만 고궁박물관
아래는 일본 오사카 동양도자박물관의 고려 청자 화형발
아래는 호림박물관 소장 청자 화형발
아래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청자화형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