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清代乾隆 斗彩 三多纹 水盂 청대 건륭두채 수우 자기
높이 3.8cm 청대자기 건륭시기 두채 삼다문 수우(연적)
口沿向内敛起,直腹,底内凹。口沿饰如意云头纹一周,壁上斗彩绘折枝寿桃、佛手、石榴三多果纹。近足外饰以海水纹。器形规整釉面匀净。青花发色清丽,釉上彩色泽清雅,呈现和谐之美。水盂为文房用具,乾隆以後除实用价值外,更多把玩之用。
아주 작은 크기의 문방 용품인데 , 우리의 연적 용도로 수우라고 하는데 두채의 제박방식으로
삼다문三多紋을 그려 넣었다. 그래서 크기는 작지만 의미는 아주 큰 그런 작품이다.
기물 입구에 구름문을 그리고 기물 밑 쪽에 바닷물 문을 그려 넣었다. 그리고 중간 전체에
삼다문을 장식하였다.
중국 청대 특히 건륭시기 도자기중 두채와 분채에 삼다문 문양을 많이 넣었는데
삼다문이란 장수(壽)와 복(福)을 기원하는 의미의 문양으로
부처님의 손(多福;佛의 중국 발음과 福의 발음이 약간 비슷한데서)이 있으며 복숭아 문양
으로 복(多壽) , 석류모양으로 자손의 번성(多子)을 의미한다(三多).
이런 문양은 다양한 형태로 중국의 도자기에서 볼수있다.
청화 분채 오채 두채 법랑채 ,,,,,
부처佛의 손 多福, 즉 복을 기원
복숭아多壽, 장수를 기원
석류 多子, 자손의 번성을 기원
아래는 참고 자료로 박물관과 경매 출품작 중 건륭시기 같은 기형의 수우와 삼다문 문양
'고미술 > 중국도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代 洪武 釉里红 缠枝牡丹菊纹碗명대자기 홍무시기 유리홍완 (0) | 2017.06.01 |
---|---|
清代 道光 粉彩蝈蝈纹一对小杯 청대자기 도광 분채 여치문 잔 (0) | 2017.05.30 |
明代 成化瓷器 黄蜀葵纹 天字罐 宫碗 명대 성화자기 황촉규문 (0) | 2017.05.29 |
南宋 湖田窑 青白釉 花纹小水注 송대자기 호전요 청백유 수주 (0) | 2017.05.28 |
明代 嘉靖 白釉刻龙青花海水纹玉壶春瓶명대 가정 청화 옥호춘병 (0) | 2017.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