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대자기 16

清代 雍正(1723~1735) 青花石榴纹一对碗 청대 옹정 청화완

清代 雍正(1723~1735) 青花石榴纹一对碗 청대 옹정 청화완 높이 5cm 입구지름 8.7cm 청대 옹정관요 문양이 석류인데 중국에서도 석류는 중국의 漢代때 서역에서 들여와 재배를 시작한 것으로 석류가 문양으로 사용된 것은 중국의 당대때 부터이다. 우리는 고려시기에 청자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석류는 吉祥紋으로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는것으로 풀이한다. 胎质细腻洁白,釉面莹润,仪态沉雅俊美。外壁绘石榴吉祥纹,层次分明,生动细致;整体纹饰疏密得当, 青花发色浓艳沉稳,笔法流畅秀雅。 태는 백색도가 높고 섬세하고 정제되어 태질이 균일하다.유면은 영롱하고 윤기가 흐른다. 기형과 문양이 조화를 이뤄 아름답다. 외벽에 석류모양으로 문양을 장식했는데 자손의 번창을 기원한다.문양은 생동적이고 청화의 농염은 입체감을 더해 기품을 더한다..

清代 乾隆 青花缠枝莲纹瓶 청대 건륭 청화 병

清代 乾隆 青花缠枝莲纹瓶 청대 건륭 청화 병 높이 12.7cm 청대 건륭시기(1736~1796) 문양은 缠枝莲(전지연;이어진 연꽃 줄기)인데 , 중국의 전통적인 吉祥문양으로 장수를 의미한다. 器型规整,折腰,圈足。釉质滋润,胎体坚实。外壁绘青花缠枝莲,青花发色深沉,绘图细致,结构紧凑。 기형은 엄정하여 기품있고 유면은 윤기가 흘러 옥을 만지는 그런 느낌이며 기벽은 적당한 두께로 안정감이 있고 외벽 전체에 연꽃과 이어진 줄기를 수 놓아 장수를 기원한다. 그림은 셈세하고 선명하며 청화의 발색은 진하며 바탕의 백색과 대비하여 입체감이 더 살아나며 전체적으로 균형과 조화가 완벽하다.

清代 道光 粉彩蝈蝈纹一对小杯 청대자기 도광 분채 여치문 잔

清代 道光 粉彩蝈蝈纹一对小杯 청대자기 도광 분채 여치문 잔 높이 5.6cm 입구지름 7.5cm 道光도광시기(1821~1850) 분채 잔 기벽은 얇고 순백의 백색도가 높은 유면위에 여치를 사실적으로 그린 분채로 도광시기 수준높은 관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돈 130여만원에 낙찰된 제백석의 여치그림 여치는 중국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데 여치의 중국 이름인 蝈蝈는 중국의 첫 왕조인 하 은 주의 하나라 임금 禹씨를 가르키기도 하고 후에는 발음과 관련해서 관직에 든다 는 뜻을 갖기도 해서 송대 부터 이를 취미로 키우기도 했는데 특히 청대에 많은 유행을 했다. 중국에서 여치 곤충은 여러 곤충중 제일 친숙한데 다른 예술 분야에서는 간혹 있어 왔지만 ,역대 도자기의 문양에서 여치를 소재로 한 문양은 청대 도광시..

清代乾隆 斗彩 三多纹 水盂 청대 건륭 두채 수우 자기

清代乾隆 斗彩 三多纹 水盂 청대 건륭두채 수우 자기 높이 3.8cm 청대자기 건륭시기 두채 삼다문 수우(연적) 口沿向内敛起,直腹,底内凹。口沿饰如意云头纹一周,壁上斗彩绘折枝寿桃、佛手、石榴三多果纹。近足外饰以海水纹。器形规整釉面匀净。青花发色清丽,釉上彩色泽清雅,呈现和谐之美。水盂为文房用具,乾隆以後除实用价值外,更多把玩之用。 아주 작은 크기의 문방 용품인데 , 우리의 연적 용도로 수우라고 하는데 두채의 제박방식으로 삼다문三多紋을 그려 넣었다. 그래서 크기는 작지만 의미는 아주 큰 그런 작품이다. 기물 입구에 구름문을 그리고 기물 밑 쪽에 바닷물 문을 그려 넣었다. 그리고 중간 전체에 삼다문을 장식하였다. 중국 청대 특히 건륭시기 도자기중 두채와 분채에 삼다문 문양을 많이 넣었는데 삼다문이란 장수(壽)와 복(福)을 기원하..

清代 雍正斗彩小胆瓶

清代 雍正斗彩小胆瓶(청대 옹정시기 두채 단병) 높이 13.1cm , 청대 옹정시기(1722~1735) 두채 중국 도자기의 여러 종류 중에서 두채는 유면 아래 먼저 청화로 문양이나 그림을 그리고 유면위에 다시 분채와 마찬가지로 다시 그림을 그려 만드는 제작 방식을 말하는데, 청화와 유면위의 여러 색채가 서로 미를 다툰다는 의미로 두채라고 불린다. 두채중에서 명대의 성화시기 작품과 청대의 옹정시기 작품을 최고로 여기는데 분채보다 제작기술이 어렵고 수량이 많지 않아 귀하며 특히 현존하는 옹정의 두채는 대부분 완이나 접시가 대부분으로 위와같은 병은 아주 드물다. 아래는 중국 박물관의 소장품으로 참고할만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