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자 7

“雨过天青云破处,这般颜色做将来”-2

明代《五杂俎》에 기재된 “雨过天青云破处,这般颜色做将来”중 "雨过天青云破处", -雨过天青;청이 晴(개다 맑다)이 아니라 青(푸르다 고요하다)이 쓰였다. 비 온 뒤에 고요한 하늘 혹은 '좋지 않은 상황 혹은 정세가 호전됨을 비유적으로 표현' 빛이 없는 어둠 혹은 희망이 없는 절망에서 빛을 가린 구름을 뚫고 모든 것을 알아 희망光明을 찾을 수 있는 자者 青,《康熙字典》东方色也! 其中东方谓之“青”,南方谓之“赤”,西方谓之“白”,北方谓之“黑”,天地谓之“玄黄”。 漫长的几千年里,“青”承载着东方之初,寓意着美好的到来。 因此古人在很多美好的寓意中,都会注入“青”:若一个人得到喜爱,便称之为“青睐”、“青眼”;若仕途顺利则称之为“平步青云”、“青云直上”;古人把正气凛然、公明廉洁的官员称为“青天”; -云破处 혹은 云破处者, 云, (운) 구름이..

柴窑出北地, 시 요는 북쪽의 어느 지역에서 만들어 졌다?

曹昭《格古要论·古窑器论》: 柴窑 “柴窑出北地,天青色,滋润细媚有细纹,足多粗黄土,近世少见。 시 요 연구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권위가 있는 명 대 초기 조소의 《격고 요론》 에서”柴窑出北地"(시요출북지)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에 대한 지금까지의 해석은 아래의 《개정증보판 격고요론》에 서 처 럼 "시 요 요지 허 난 정주"로 시 요의 요지로 해석을 하고 있다. 이 외의 여러 고대 문헌들을 보아도 거의 대동 소이하게 '북 지'를 요지로 해석한다. 그렇더라도 지금까지 시 요의 요지가 확정되지는 않고 있다. 한편 같은 조소의 《격고 요론》에서 여요(汝窑)에 대해 기술한 내용을 보면 역시 '汝窑器出北地'(여요기출북지)라고 되어 있다. 曹昭《格古要论·古窑器论》:汝窑 “汝窑器出北地。宋时烧者,淡青色,有蟹爪纹者真,无纹者尤好..

足多粗黄土(족다조황토)-(굽) 정제되지 않은 태토가 노출 되었다?

《格古要论·古窑器论》曹昭撰,该书成于明洪武年间,原著三卷,书中在论及柴窑时写道: “柴窑出北地,天青色,滋润细媚有细纹,足多粗黄土,近世少见。” 명 대 초기 문인 조소가 《격고 요론. 고요기론》에서 시요에 대해 기술 한 내용 明代中期,王佐对曹昭的《格古要论》进行了增补,章次也有所变更,取名为《新格古要论》,全书共十三卷。书中论述柴窑,对曹昭洪武版的内容有所增改: “柴窑器,出北地河南郑州。世传周世宗柴氏时所烧者,故谓之柴窑,天青色,滋润细腻,有细纹,多是粗黄土足,近世少见。” 명 대 중기 문인 왕좌가 앞의 조소 《격고 요론》을 자기의 해석을 담아 《신격고 요론》이라고 이름 짓고 출판을 하게 되는데, 시요에 관해서 보면 요지를 허난 성 정주로 구체화하기도 하고 후 주 시대 시 세종 연간에 제작되었음을 알리고 특히 조소의 足多粗黄土 를 多是粗黄..

有细纹;유세문(도자기 표면이 세밀하게 갈라졌다?)

《格古要论·古窑器论》曹昭撰,该书成于明洪武年间,原著三卷,书中在论及柴窑时写道:“柴窑出北地,天青色,滋润细媚有细纹,足多粗黄土,近世少见。” 이 "有细纹"은 앞서도 소개한 바 있는 명나라 초기(홍무황제시기) 골동품 감상 관련 최고 권위자 중의 한분인 조소의 저서 《격고 요론-고요기론》에서 언급된 시요의 대표적 특징 중 하나이다. 이 격고 요론에는 중국 고대 고미술 전반에 대한 소개와 감상, 평가 등이 있으며, 당시는 물론 지금까지도 각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시요의 경우에도 송대 때부터 지금까지 많은 문인과 전문가들의 저작 저술들이 있지만 이 조소의 두 줄짜리 시요에 대한 언급이 가장 권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이 짧은 문장 안에 시요의 생산 요지, 시요의 역사와 의미, 시..

송대 여요(汝窑)와 고려청자

송대 여요(汝窑)와 고려청자 明代高濂《 遵生八笺 ;燕闲清赏笺》 高子曰:论窑器必曰柴、汝、官、哥,然柴则余未之见,且论制不一。……汝窑,余尝见之,其色卵白,汁水莹厚如堆脂,然汁中棕眼隐若蟹爪,底有芝麻花细小挣钉。余藏一蒲芦大壶,圆底,光若僧首。圆处密排细挣钉数十,上如吹埙收起,嘴若笔帽,仅二寸,直塑向天,壶口径四寸许,上 加罩盖,腹大径尺,制亦奇矣。又见碟子大小数枚,圆浅瓮腹,磬口,釉足,底有细钉。 以官窑较之,质制滋润以官窑较之,质制滋润。 명대의 유명한 저작에 실린 여요에 대한 저술. 여기 내용 중 어느 여요에 대한 묘사 중 특별히 "유면의 색이 란백"이다라는 내용이 있다. 란백이 삶은 계란은 당연히 눈雪과 같이 하얗겠지만, 실제는 , 위의 굽에 보이는 세 받침을 "底有芝麻花细小挣钉"이라고 표현했는데,고려청자의 규석 받침과 같은 것인데 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