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술 /柴窯(시요)연구

류광일채“流光溢彩”、광망탈목“光芒夺目”、、、

갠하늘 2020. 11. 18. 21:23
728x90
반응형

류광일채“流光溢彩”、광망탈목 “光芒夺目”、보영 사목광“宝莹射目光”,

차이요(시요) 관련 고대 문헌에 자주 등장하는 문구들인데, 모두 차이 요의 특징을 설명하면서 나오는 문구들이다. 

문구들은  쓰는 이에 따라 각각 다르지만 표현하는 내용들은 모두 같다고 할 수 있다. 아마 아래와 같은 사진들을 그렇게 표현했으리라.

실물이 없는 상태에서 도자기와 이런 현상을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많은 이들은 그 저 신화이거나 전설일 뿐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차이요 자기는 그 냥 아름다운 자기가 아니라 주 세종의 사상이자 국가 운영 철학이었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청 말 민국시기의 한 저술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는데,由于柴瓷的釉折射出的光芒可以石的耀眼光芒相美,而受追捧,成瓷器史上的峰之作。차이 요의 유면에 빛을 반사하는 얇은 층이 있는데, 거기서 나오는 그 빛은 금강석(다이아몬드)에서 나오는 그 빛과 같이 강렬하고 아름답다. 숭배할 만 하며 도자기 역사에서 최고의 작품이다.

그런 빛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아래와 같은 문헌 자료도 있지만 , 이 외에도 많은 문헌에서 표현은 다르지만 같은 내용을 얘기한다. 차이요의 유면을 만들기 위해 당시 귀했던 여러 보석과 금속을 이용했다. 즉, 유리 마노, 금, 등등을 섞어 유약을 만들었다.  차이요와 다르게 송대의 여요는 마노를 넣어 만들었다는 문헌기록이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제조 방식에 대한 기록은 차이요와 여요에만 존재한다. 

《南窑笔记》载:“柴窑, 周武德年间宝库火,玻璃、玛瑙、诸金石, 烧结一处, 因令作釉。其釉色青如天、明如镜、薄如纸、声如磬。其妙四,如造于汝州,瓷值千金。”

그래서

明张谦德《瓶花谱》对柴窑记曰:“古无磁瓶, 皆以铜为之, 至唐始尚窑器, 厥后有柴、汝、官、哥、定……等窑, 而品类多矣。尚古莫如铜器, 窑则柴、汝最贵, 而世绝无之。”

명 대의 문헌에 보면 차이요와 여요를 최고로 꼽는다고 하였다. 

아래는 차이요(시요)로 추정하고 고증해 가는 작품이다. 

《景德镇陶录》柴窑“光芒夺目如飞箭一般。”이 뜻은 

아쉽게도 이 순간을 볼 수 있는 시간은 날아가는 화살과 같이 빠르기도 하고 아주 짧다. 비 온 뒤 갠 하늘이어야 하며 그것도 해 가 없어지는 마지막 아주 짧은 바로 그 순간이다. 

후 주 세종 차이롱(后周 世宗 柴荣)의 표현을 빌자면, "10년 안에 전쟁에 이기고 다시 10년 동안 토대를 만들고 

이어서 10년 정도 나라를 세우면 볼 수 있는 세상"이다. "

이런 내용을 도자기로 만들어라"라고 어 요(御窑) 廳청에 지시한다.  

“雨过天晴云破处, 者般颜色作将来”

"비 온 뒤 맑은 하늘에 있는 구름을 뚫고 보이는 그 현상과 모양을 만들어라".

이 말은 그 의 사상과 이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