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07/10 2

고려시대 청자상감모란절지문음각연당초문과형매병

청자상감모란절지문음각연당초문과형매병 青瓷镶嵌牡丹折枝纹阴刻莲唐草纹瓜形梅瓶 높이 25.2cm 고려 12세기 이름이 아주 길고 복잡한데 우선 주요 특징을 보면 참외모양을 닮은 매병이고, 목단절지문을 흑백상감으로 하고 연당초문을 음각으로 표현하였다. 여기에 입구쪽에 음각으로 여의두문을 둘렀으며 아래 굽 쪽에는 연판문으로 마감을 하였다. 이상의 특징들을 감안하여 " 청자상감모란절지문음각연당초문과형매병"이라 이름을 정했다. 보통 청자의 시대구분을 여러가지 근거로 다양하게 구분을 하는데 한국 고미술의 선각자이신 고유섭 선생은 고려 인종(~1146년)의 장릉에서 출토된 청자와 고려 명종(~1170년)의 지릉에서 출토된 청자를 분석해서 상감청자는 1146년에서 1170년 사이에 제작이 되었을걸로 판단을 한다. 인종의 장..

고려시대 청자음각연화절지문발

고려시대 청자음각연화절지문발 青瓷阴刻莲花折枝紋鉢 높이 6.5cm 구연지름 10.7cm 고려시대 12세기 당시의 기물들 중 흔하지 않은 기형으로 완과 발의 구별이 애매한 정도이며 일반적인 완과 구별하여 크기와 모양을 고려하여 발로 정하는게 맞을걸로 보인다. 외벽위에 음각으로 뇌문을 두르고 전면에 연화절지문을 음각으로 시원하게 새겨져있다. 안쪽의 내벽에는 위쪽에 가는선 하나가 음각 되어 있을뿐 아무런 장식도 되어 있지 않다. 전체적인 느낌은 깜직하고 안정적인 기형에 가는 실선의 음각장식 그리고 얇게 시유된 비색유로 고려시기 전성기때의 청자의 기품을 느낌을 수 있다. 유면은 얇고 투명하며 녹색을 머금은 청자유를 볼 수 있고 기물전체에 퍼져있는 기포확인이 가능하고 빙렬은 나타나지않는다. 세개의 작은 규석받침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