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07/13 2

고려시대 청자 음각모란국화문장경각병

고려시대 청자 음각모란국화문장경각병 青瓷阴刻牡丹菊花纹長頸角瓶 높이 38.6cm 고려 12세기 고려시대 청자 중 장경각병은 원형의 둥근 목이 긴 장경병에 각을 만든것을 말하는데 보통 6각 8각 10각 12각 까지 있으며 본 작품은 10각의 장경각병이다. 모양이 학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학수병(鶴首甁)이라고 하기도 한다. 목의 끝에 뇌문을 둘르고 옆에 손잡이를 달아 뚜껑이 있었씀을 알 수 있다. 목의 각 면에 구름문양을 드문드문 넣었다. 목과 몸이 만나는 부분에 두줄의 가는 실선으로 경계를 나누고 몸쪽으로 여의두문을 둘렀다. 전체 열개의 면으로 되어있는데 우선 한면에 모란문을 두개씩 넣고 이어지는 면에 국화꽃을 한 송이씩 넣어 각 면마다 어긋나게 배치하였다. 아래쪽 유면에 오색 무지개가 나타난다. 장경병은..

고려시대 청자양각국화모양합

고려시대 청자양각국화모양합 青瓷阳刻菊花形盒 높이 3.8cm 구연지름 11.2cm 고려 12세기 뚜껑의 꽃술을 양각으로 해서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는데 , 거기에 흑백의 색으로 생명을 넣었다. 이런 장식기법의 청자를 퇴화문(堆花文)청자라 하는데, 백토(白土) 혹은 자토(赭土)를 붓에 묻혀서 그것이 두드러지도록 문양을 나타낸 것으로, 보통의 상감청자와 구별해서 순청자 혹은 상형청자에 두드러지는 표현이 필요할때 부수적으로 하는 표현방식이다. 아래는 퇴화문 기법의 예 중앙박물관 소장 중앙박물관 소장 아래는 일본 오사카 동양 도자 박물관의 청자 양각국화모양 합 아래는 본 작품의 세부사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