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06 40

宋代 黑釉油滴碗

宋代(金代) 黑釉油滴碗 송대(금대 : 1115~1234) 흑유 유적완 높이 7.1cm 입구지름 12.5cm 金代 송대 북방지역의 요지에서 제작된 걸로 보통은 흑유로 검은색이 주 인데 드물게 紫紅의 油滴완이다. 우선 유적이란 기름 물방울 모양이란 뜻이다. 이런류의 흑유는 송대당시 다완으로 유명했던 남방의 건요 길주요등과 대비해서 북방의 여러 요지에서 생산되었다. 당시 시대 상황으로는 북송이 멸망하고 남방지역은 남송이라 불리며 송의 명맥을 유지해 가고 북방에서는 송을 무너뜨린 金이 집권하게 되었다. 그래서 남쪽요지인 건유 용천요등은 시대 구분에서 남송이라하고 북방의 자주요 균요 등등은 金代라고 구분한다. 어쨌든 본 작품은 금대의 것으로 북방 산서성의 림분요(臨汾窯)제작으로 추정한다. 찻잔(다완)의 본격적인 ..

고려시대 청자 상감운문투각칠보모란초문베개

고려시대 청자 상감운문투각칠보모란초문베개 青瓷镶嵌云纹透刻七寶牡丹草纹枕 높이 10.9cm 길이 13.1cm 넓이 10.6cm 고려 13세기 추정 정면의 사진인데 草紋에 음각이 되어 있어 본 작품에는 흑백상감과 음각 투각 상형 등 많은 제작방식이 동원되었씀을 볼수있다. 그래서 이름이 길기도하다. 이 베개의 용도는 진맥의 용도(脉枕)였을거로 여겨진다. 규격을 정할때 진맥의 용도로 보아 더 긴쪽이 높이가 되고 짧은 쪽을 폭으로 정해야 할거 같다. 제작의 정교함과 문양 표현정도 유색과 유면의 상태등을 볼때 쇠퇴해 가는 고려시대 청자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시대적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흑백상감 음각 성형 투각 그리고 유색과 유면을 잘 볼수있다. 칠보문양 네개의 큰 규석 받침을 사용하여 구운 흔적 (참고)아래는 북..

고려시대 청자상감 운학문매병

고려시대 청자상감 운학문매병 镶嵌青瓷云鹤纹梅瓶 높이 25.4cm 고려 12세기 구름속의 네 마리 학은 아래로 내려오고 또 다른 네마리의 학은 구름을 뚧고 더 높은 하늘로 올라가는 그림이다. 매병 입구에는 여의두문을 장식했는데 여의如意는 중국이나 한국 모두에게 오래된 전통문양인데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문양으로 후에 도교와 불교에서 귀하여 여겼으며 이의 기물과 문양은 지금까지 중요한 의미로 사용한다. 종교가 아니어도 민간에서 친숙하며 뜻은 "만사 형통"의 의미를 담는다. 뜻한바가 이루어 진다는 뜻을 담고 있다. 가슴이 다른 매병들 보다 많이 풍만하고 허리는 더 잘록하다. 당시 제일 예쁜 美女를 형상화 한듯 밑면에 뇌문(번개문)으로 장식의 마무리를 했는데 뇌문은 번개를 형상화 했다고 하는데 사실은..

南宋 龙泉窑梅子青香炉 송대(남송;1127~1279) 용천요 향로

南宋(남송;1127~1279) 龙泉窑梅子青香炉 송대 용천요 향로 높이 14.2cm 남송시기 정식 이름은 南宋 龙泉窑梅子青釉两耳三足香炉 귀가 두개이고 발이 세개인 향로 이런 향로의 기형은 송대에 여러 요지에서 제작을 했는데 원래는 모두 고대(商代와 周代)의 청동의 향로를 각각 자기들의 특성에 맞게 변형하여 모방을 한 것이다. 매실청의 색을 말하고 그 색을 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용천요의 매실청유는 남송시기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남송시기 용천요를 매실청과 분청으로 나누는데 분청에 비해 제작방식과 품질이 월등히 차이가 나서 이를 구별하여 부른다. 매실청은 여러번 시유를 해서 분청보다 유면이 두껍지만 오히려 더 투명한데 그 이유는 가마의 온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어쨌든 매실청 용천요의 작품은 남송시기 ..

元代吉州窑洒釉彩四耳盖罐 송대 길주요사이관

元代吉州窑洒釉彩四耳盖罐 송대 길주요사이관 높이 13.2cm 원대 길주요 사이관(귀가 네가 달린 뚜껑달린 항아리 ) 길주요는 경덕전으로 유명한 강서성안에 길안에 있는데 더 작은 지명을 따서 东昌窑동창요 、永和窑영화요라고 불리기도 한다. 길주요는 당대 말기부터 시작해서 북송 남송시기 최고의 전성기를 지나 원대 말까지 제작을 하게된다. 송대의 길주요는 8대명요에 꼽을정도로 큰 명성을 갖기도 했다. 원대에 들어서면서 쇠퇴를 하게 되는데 본 작품은 그 원대의 초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는 위의 작품과 같은 계열로 같은시기 각 박물관의 길주요 작품

元代 青花云龙纹高足杯 중국도자기 원대 청화 운용문 고족배

元代 青花云龙纹高足杯 중국도자기 원대 청화 운용문 고족배 높이 8.7cm 원대 (1271~1368) 고족배 고족배는 馬上盃 마상배라고도 하는데 실용성도 있고 독특한 미를 표현할 수도 있어 唐대때 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도자기의 기형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각 시대의 특성에 맞게 독특하게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되고 문양도 시대적 특성을 담아 표현하였다. 원대자기에서 제일 중요하게 감상하는것이 청화靑花의 색인데, 청화백자는 중국도자기 사史에서 원대부터 시작이 되기도 했지만 전체 도자기 역사에서도 청화백자는 원대의 청화를 최고 수준의 작품으로 여긴다. 청화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는데 하나는 당시 아랍에서 수입된 원료의 사용과 또다른 하나는 당시 중국 현지 자체에서 조달한 것 인데 , 본 작품은 수입원료를 ..

宋代 耀州窑 孩儿枕 중국도자기 송대 요주요 아이모양 베개

宋代 耀州窑 孩儿枕 중국도자기 송대 요주요 아이모양 베개 길이 30.8cm 북송 (960~1127) 시기 요주요 요주요의 전성기는 오대(907~960)말기부터 북송 초기라고 할 수 있는데 요주요의 최고 걸작들은 모두 오대 말기에 제작이 되었는데 이 당시의 명품들은 다시 이후에 볼수 없을 정도로 전무후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후대의 많은 학자들은 아직까지 구명이 되고 있지 않은 전설속의 그 柴窯가 혹시 요주요가 아니었을까 하는 견해를 갖는데 아직까지 이의 견해가 다수 이기도 하다. 아래는 그 오대 요주요 작품 들 중 일부 오대가 무너지고 宋송이 들어서면서 점차적으로 요주요는 쇠퇴하기 시작한다. 사회가 혼란해 지고 일부 유능한 도공들은 새롭게 살길을 위해 흩어지게 되는데 그 중 일부는 당시의 고려로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