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06 40

고려시대 청자음각 여의두문 모란문병

고려시대 청자음각 여의두문 모란문병 青瓷 阴刻如意頭文牡丹纹瓶 13.2cm 고려 12세기 이 작품의 특징은 무늬의 배경을 음각으로 넓게 파내어 양각의 효과를 내게 하는 반 양각(半陽刻)의 기법을 사용해서 여의두문 문양을 내었다는 점이다. 기형은 옥호춘병(玉壺春甁)의 모양을 내는데 낮은 굽과 풍만한 몸통에 목 그리고 입구가 밖으로 짧게 벌어진 점등이 유사하나 전형적인 옥호춘병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이는 그런 병의 형태이다. 몸통 상부의 여의두문외에 중앙에 정면 후면에 같은 그림으로 모란 꽃이 역시 반 양각으로 수 놓아져있다. 유면은 아주 투명하며 두껍게 시유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옥의 느낌을 준다. 아래는 역시 반양각의 기법으로 여의두문 장식을 한 작품들 청자음각여의운문병[靑磁陰刻如意雲文甁 보물 1035..

고려시대 청자음각전지모란문별구병

고려시대 청자음각전지모란문별구병 青瓷阴刻缠枝牡丹纹撇口瓶 높이 20.5cm 입구지름 9.8cm 고려 12세기 이런 기형은 고려시대 청자에서 드문 유형의 병인데 중국의 고대 도자기에서는 청동기를 모방한 기형으로 당대부터 청대까지 다양한 요지에서 많이 만들어졌던 기형이다. 아래는 청대 건륭시기의 별구병 작품이다. 清代乾隆钧红釉撇口瓶 청대 건륭 균홍유 별구병 撇口瓶별구병이란 주둥이가 밖으로 벌어졌다는 뜻인데, 보통 굽이 약간 높고 몸통이 풍만하고 목이 길고 주둥이가 크며 밖으로 벌어진 기물들을 일컫는다. 아주 가는선으로 은은하게 모란꽃 문양이 수 놓아져 있는데 투명하고 얇은 翡色유면은 더욱 더 꽃을 기품있게 보여준다. 기물에 나타나는 색의 변색은 제작 당시의 불의 조화를 느끼게 해 주며 전체 문양을 감상하는데는..

고려시대 청자음각 연화당초문 항아리

고려시대 청자음각 연화당초문 항아리 青瓷阴刻莲花唐草纹小壶 높이 13.6cm 입구지름 8.5cm 고려 12세기 연꽃과 줄기들을 음각으로 기벽 전체를 장식했는데 음각이 두껍고 약간 투박스러운 느낌이지만 아래쪽 전체에 연꽃 받침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연꽃과 줄기를 꽉 채워 기형과 조화를 이루어 오히려 흠이 아닌 장점으로 여겨진다. 전체적으로는 너무 크거나 작지않은 앙증맞은 정도의 기물로 굽을 낮게 하고 입구를 안에서 밖으로 세련되게 마감을 지어 문양과 더불어 균형과 조화를 완벽히 표현하였다. 유면이 투명하여 음각 문양이 선명하고 유면안의 기포가 유관으로 확인이 되고 빙렬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있다. 굽은 낮게 하여 태화토 받침 5개를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있다. 용도로는 불교 사찰에서 사용하던 다양한 여러 기..

고려시대 청자 양인각모란문 접시

고려시대 청자 양인각모란문 접시 青瓷 阳印刻牡丹纹(碟)楪匙 높이 3.7cm 입구지름 16.3cm 고려 12세기 유면과 유색은 청자 전성기때의 특징을 보여주지만 빙렬이 심하다. 유색이 투명하여 유면속의 문양이 선명하긴 하지만 양인각 자체가 선명하지 않아 전체의 문양이 뚜렷하게 보이진 않는다. 기물의 바닥은 크게 모란을 장식하였으며 기벽의 맨 바깥에 뇌문으로 마감을 했는데 그 사이의 기벽에 장식한 문양은 선명하지가 않아 확정하기가 어렵다. 포도문양 꽃모양 그리고 오리모양과 동자모양이 있는듯도 하고 아닌거 같기도 하고,,,,, 기벽이 두꺼우며 유면도 두껍게 시유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중량감이 있어 중후하며 변의 끝 부분을 최대한 얇게 해서 기물의 안정감을 더했다. 청자에서 양인각의 제작기법도 흔하지 않지만 본..

고려시대 청자와 연꽃

고려시대 청자와 연꽃 고려시대 청자양각연꽃모양 연적 青瓷阳刻莲花形砚滴 높이 10.8cm 고려 12세기 연꽃모양을 형상화한 연적인데 이런 류의 상형청자와 음각 연꽃무늬등 당시 많은 기물들이 연꽃문양을 넣어 작품을 만들었는데 연꽃이 상징하는 의미와 고려시대에 특히 연꽃을 선호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연꽃은 불교와 깊은 인연이 있는 식물이다. 연은 흙탕물에 자라면서도 더러움에 물들지 아니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우리 조상들은 이 불염성(不染性)에 한없는 신비를 느껴 신성시하였고 또 사랑하였다. 불교에서는 연꽃을 만다라화(曼茶羅華)라고도 한다. 삼라만상을 상징하는 오묘한 법칙이 연꽃에 드러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연은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에 있었던 것으로 짐작되지만 문헌상의 기록으로는 《삼국사기》와 《삼..

고려시대 청자와 모란꽃

고려시대 청자와 모란꽃 고려시대 청자 음각 모란절지문완 青瓷阴刻牡丹纹碗 높이 4cm 입구지름 11.7cm 여기에 음각으로 표현된 문양은 모란꽃과 가지인데 고려시대 청자의 문양 중 가장 빈번한 문양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고려시대 도공들과 청자의 주요 수요층이었던 지배층에게 모란은 어떤 의미 였을까? 모란은 꽃이 화려하고 풍염(豊艶)하여 위엄과 품위를 갖추고 있는 꽃이다. 그래서 부귀화(富貴花)라고 하기도 하고, 또 화중왕(花中王)이라고 하기도 한다.꽃중의 왕. 모란의 다른표현인 천향국색(天香國色)은 문헌에 따라서는 국색천향이라고 하고 있는 곳도 있다. 국색은 나라 가운데서 가장 미인이란 뜻이고 천향은 하늘에서 내려진 향기라는 것인데 대단히 좋은 향기라는 뜻이다. 즉 하늘에서 내려진 것과 같은 향기로움을..

고려시대 청자상감 술병과 잔

고려시대 청자상감 술병과 잔 镶嵌青瓷 酒壶和盏 청자상감 목단운학문주자 青瓷镶嵌牡丹云鹤纹注子 높이 29.4cm 운학문 대접 青瓷镶嵌云鹤纹碗 높이 6 cm 입구지름 13.8cm 고려시대 술관 관련해서 , 이전 시대와 비교해서 많은 발전이 있었는데 당시 중국의 송대와 원대의 제조기술을 도입해서 그 동안 쌀 위주의 단순하고 원가가 높은 재료에서 다양하고 값싼 원료를 채용해서 많은 발전을 이뤘다. 고려시대 술에 관한 문헌(고려사)에 보면 , 고려 문종 때(1046년) 왕이 마시는 술은 양온서를 두어 빚었는데 청주와 법주 두 가지로 구분되어 질항아리에 넣고 명주로 봉하여 저장해 둔다 하였다. 고려 때에는 사찰이 여행자의 숙박지로 이용되었을 뿐 아니라 술을 판매하는 풍속이 있어 사찰을 중심으로 다양한 술들이 발달 되..

고려시대 청자 꽃모양 접시

고려시대 청자 꽃모양 접시 青瓷花形楪匙 고려 12세기 고려 12세기 작품으로 진하지 않은 청자유가 얇게 시유되었고 기벽이 얇지만 어느정도 무게감이 있어 실제 사용을 하는데 안정감을 준다. 무엇을 담을지는,,,,,,, 투명한 유면속으로 기포가 보이며 빙렬은 전혀 없다. 은은한 비색유를 확인할 수 있고 굽에는 세개의 규석받침 흔적이 있다. 아래는 같은 기형의 각 박물관 작품들 강진 청자 박물관 리움 박물관 아래는 모두 중앙 박물관 소장품

宋代 吉州窑黑釉彩绘茶盏

宋代 吉州窑黑釉彩绘茶盏 송대(남송: 1127~1279) 길주요 채회 다완 높이 6cm 입구지름 12.8cm 남송시기 찻잔 길주요는 지금의 강서성에 위치하고 있는데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를 거쳐 북송 그리고 최고 전성기였던 남송을 지나 원대말에 쇠퇴를 하여 멸실이 된다. 남송시기 번창했던 이유는 당시 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당시 중국의 차 문화가 최고조에 이르고 북송과 달리 민간에서도 차와 관련 다구의 많은 수요로 발전을 하게됐다. 지금까지 발견된 요지만 주변에 120여 곳이 넘는데 그 중 永和지역의 것이 가장 크고 품질이 높다. 《东昌志》记载:永和镇至五代时,民聚其地,耕且陶焉。到宋时,瓷业兴旺,辟坊巷街三市、锦绣铺有几千户,百尺层楼万余家,连殿峻字,呈现出“民物繁庶,舟车辐辏”的繁荣景象,永和镇也成为“天下三..

고려시대 청자 음양각 국화모양 합

고려시대 청자 음양각 국화모양 합 青瓷 阳印刻 菊花形盒 높이 5.4cm 큰 지름 11.4cm 고려 12세기 음양각의 방식을 채용해서 국화를 형상화한 합으로 유면과 유색이 고려청자 전성기 때의 특징을 담고 있으며 부식 현상이나 하자가 없는 훌륭한 작품이다. 가히 翡색이라 할 만하다. 당시 도공들이 추구했던 색으로 녹색을 머금은 푸른색(翠)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흔한 보통 물총새인데 비색청자의 비翡가 물총새를 나타내기도 한다. 고려 당시에도 청자의 색을 비색翡色 이라고 불렀는데 아마 이 안의 색을 지칭했을 수도,,,, (참고)아래는 중앙 박물관의 청자 합 (두점) 청자 음각 하엽문 합 (연꽃문 합) 국화모양 합 이 작품은 우리 고려청자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인종장름 출토물 중의 한점이다...

반응형